현재 비상경행정 정외 등인데 영화나 드라마 같은 컨텐츠에 관심이 생겨 이쪽 진로로 가려고 합니다 문콘이나 미컴을 다전공이나 부전공을 할까 고민 중입니다 이게 취업할 때 메리트가 있을까요.
문과에서 공대로 전과하거나, 복수전공, 부전공, 융합전공, 연계전공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학을 공부하고 학위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문과 얘네들은 해외로 못빠지면 그냥 서울대부터 줄세우기임 그나마 공부좀 했다는 애들이 경영 고집하는데 의미 없음. 이과인데 국어를 잘보고 수학을 좀 못봐서 대부분 인문계열들이 안정 라인이 뜨길래 쓸까 고민됩니다. 좋은 학점을 받기 위한 경쟁은 치열해졌고, 법학전문대학원법전원이나 복수전공을 위한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공업디자인 복수전공 엄청 합니다 진짜로 ㅋㅋㅋ.. 안녕하세요 이제 3학년 올라온 문과생입니다.. 예를 들어, 고려대학교 뇌인지과학 융합전공은 컴퓨터학과, 심리학과, 생명과학부, 환경생태공학부, 뇌공학과 수업에서 학점을 이수하면 전공으로 인정됩니다.. 문과생들이 다 덤벼들어서 진짜 4점대 초반은 기본입니다..
대학원에 진학하면 연세대 서울캠퍼스 응용통계학과 문과는 선형통계모형과 수리통계학1대학원을 필수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그런데 과탐에 대해 하나도 모르고 이과수학은 공부해본적이 없으니 만약 복수전공을해도 학점깔아주게 될까요. 저희 학과는 원래 인증과정이 필수인데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을 하면 인증과정을 하지 않아도됩니다. 이 2과목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어차피 학부 전공필수이든 아니든 해석개론, 회귀분석, 확률론 등에 대한 공부를 해가야 한다.
그리고 그렇게 문과생이 복수전공 한다고 해서. 문과생들이 다 덤벼들어서 진짜 4점대 초반은 기본입니다, 요즘 일톡 같은 곳에서도 문과생이 특히 컴공 어떠냐고 물어보는 글 많아서 간략하게 각 과 공부하면서 느낀 점 남겨볼까해.
오히려 자동차 부품 제조회사 1차사에서 6개월 품질 체험형 인턴 경험이 매우 좋은 스펙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당시 품질의 전반적인 고객품질, 공정 입고.
하지만 10번대 학번 사람들은 복수전공은 그냥 원하는 소수가 하고 그렇게 필수적으로 생각안했어요. 어떤 사람들은 다전공이나 부전공하면 초과학기 무조건 다녀야, 위치는 인서울이지만 잘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그리고 그렇게 문과생이 복수전공 한다고 해서. 라는걸 묻는게 아니라 그냥 철학과같은 문과계열 과에서 이과계열 과를 선택하는, 안녕하세요, 저는 비상경 문과 재학중인 2학년입니다.
저는 사실 별다른 진로가 있지는 않고, 좋은 기업에 취업하고 싶다는 대략적인 목표만 가지고 있습니다. 취업시 복수전공은 오히려 전공1개도 제대로 못한다는 인식을 줍니다. 문과가 컴공 복수전공하면 따라가기 힘들까요, 출처 에듀진 서울대의 1순위, 고려대의 4순위에 해당하는 문과 전공인 자유전공학부는 1학년 때 학교의 수업을 전공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수강하고, 2학년부터 전공을 결정하게 되는 학과입니다. 복수전공 초과학기가 고민이라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음.
문과 졸업자가 이과 복수전공 하고 졸업하면 편입 가능한가요.
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다시 수능을 보는 학생들이 늘었고, 입학한 후 다시 반수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더욱 늘었다.
부전공정도는 몰라도 정말 해당 전공을 공부하고 싶어서 그런거 아니면 취업때문에 하는건 아닌거 같네요, 어떤 사람들은 다전공이나 부전공하면 초과학기 무조건 다녀야. 상경계열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어서 복수전공으로 경영이나 경제 계열을 고려하고 있는데, 요즘 고민이 많아 이. 상경계열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어서 복수전공으로 경영이나 경제 계열을 고려하고 있는데, 요즘 고민이 많아 이, 나중에 취업할때 공대생으로 인정해주지도 않습니다.
중견도 요즘 sky 문과생 특별 채용으로 하기에 sky 미만의 문과생은 정말 갈곳이 없어서 학원 선생님하거나, 대부분 대학의 상경, 컴공은 복전컷이 미쳐날뜁니다, 문과는 취업이 안되니 이공계로 복수전공을 하는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학교에서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되다 보니 창업관련해 투자를 많이 해요.
그래서 복수전공 신청 버튼만 누르면 되는데 공대에서 문과 복전은 비추천한다는 의견이 많아서 고민이 됩니다.
| 대학원에 진학하면 연세대 서울캠퍼스 응용통계학과 문과는 선형통계모형과 수리통계학1대학원을 필수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
요즘 일톡 같은 곳에서도 문과생이 특히 컴공 어떠냐고 물어보는 글 많아서 간략하게 각 과 공부하면서 느낀 점 남겨볼까해. |
수업을 따라가기가 힘들다 이전 포스팅에서 적었듯이 고등학교 이과 수준의 선행 학습은 필수다. |
| 학교 시스템 상 두 학과의 학적이 완전 분리되어 있습니다. |
복수전공보다 오히려 인턴 경험이나 실무 경험이 훨씬 중요함. |
학교 시스템 상 두 학과의 학적이 완전 분리되어 있습니다. |
| 복수전공은 말그대로 주전공과 동등한학위를 얻는 것이기 때문에 복수전공 전공필수과목 무조건 다 수강해야하고 졸업논문이나 졸업프로젝트도 주전공얘들과 동일하게 요구하고 평가함. |
과제의 양도 그렇지만, 전공 기초필수도. |
오히려 자동차 부품 제조회사 1차사에서 6개월 품질 체험형 인턴 경험이 매우 좋은 스펙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당시 품질의 전반적인 고객품질, 공정 입고. |
| 수업을 따라가기가 힘들다 이전 포스팅에서 적었듯이 고등학교 이과 수준의 선행 학습은 필수다. |
문과가 복전할만한 이과전공은 없을까요. |
다들 복전으로 통계경영경제가 좋다고 해서 부끄럽게도 직무에 대한 고민도 없이 무작정 통계를 선택했습니다. |
| 라는걸 묻는게 아니라 그냥 철학과같은 문과계열 과에서 이과계열 과를 선택하는. |
이과 밀어주는 학교라 문과생이 오면 복수전공 거의 필수라고 보면 됩니다. |
이과인데 국어를 잘보고 수학을 좀 못봐서 대부분 인문계열들이 안정 라인이 뜨길래 쓸까 고민됩니다. |
대부분 대학의 상경, 컴공은 복전컷이 미쳐날뜁니다, 이 점은 어느학교든 어느 학과든 다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서울대에서는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을까. 이 2과목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어차피 학부 전공필수이든 아니든 해석개론, 회귀분석, 확률론 등에 대한 공부를 해가야 한다.
모코코딱지 기준 현재 비상경행정 정외 등인데 영화나 드라마 같은 컨텐츠에 관심이 생겨 이쪽 진로로 가려고 합니다 문콘이나 미컴을 다전공이나 부전공을 할까 고민 중입니다 이게 취업할 때 메리트가 있을까요. 공업디자인 복수전공 엄청 합니다 진짜로 ㅋㅋㅋ. 복수전공 초과학기가 고민이라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음. 다만, 이는 평점이 본인 주전공을 상회하거나, 비슷한 수준일 때 이야기이고, 평점을 낮추고 있는 상황이라면 포기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근데 문과 취업에서 전공 격차는 극복 불가능한 것이 아님, 그런데 학벌은 평생 따라다님. 몬헌 참조룡의 첨예발톱
문앟 문과 얘네들은 해외로 못빠지면 그냥 서울대부터 줄세우기임 그나마 공부좀 했다는 애들이 경영 고집하는데 의미 없음. 안녕하세요 이제 3학년 올라온 문과생입니다. 근데 문과 취업에서 전공 격차는 극복 불가능한 것이 아님, 그런데 학벌은 평생 따라다님. 어떤 사람들은 다전공이나 부전공하면 초과학기 무조건 다녀야. 부전공정도는 몰라도 정말 해당 전공을 공부하고 싶어서 그런거 아니면 취업때문에 하는건 아닌거 같네요. 무좀 완치 디시